잘피 분포 조사
우리나라의 잘피 분포면적은 45km2 - 60km2로 추산되고 있다. 면적을 추산한 시기가 오래된 자료가 60km2 이고 최근 보고 자료가 45km2 이니 그 사이 잘피의 분포 면적이 줄었고 이는 기후변화의 탓이라 말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보다 선행하는 잘피장 면적 산출의 난이도를 고려해 보아야 한다. 잘피는 최근 주목하고 있는 Blue Carbon, 그 중 IPCC가 인증하는 유일한 침수식물이다. 그러다 보니 IPCC보고서에 전세계 연안의 잘피장 면적을 추산하는 참고 문헌이 소개되어 있고 신뢰할 만한 Review도 제법 있는 편이다. 그럼에도 전세계 잘피 분포면적의 추정치는 연구에 따라 세 배정도 차이가 난다. 다른 Blue Carbon source 인 맹그루브, 염생식물과 비교해 보아도 그 차이가 큰 편이다. 그럼에도 신뢰할만한 보고에서 그 차이를 교정하지 않고 그대로 게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답부터 하자면 해저에 분포하는 잘피장의 면적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이다. 맹그루브 숲은 육상의 식생을 확인하는 것과 유사한 방법을 쓴다. 항공 촬영과 일부 망원 촬영, 숲을 종단하며 분류한 식생의 변화 등을 확인하면 비교적 정확한 면적의 계산이 가능하다. 염생식물 또 한 간조 시 항공 촬영을 기본으로 면적 계산이 가능하다. 그럼에도 이 두 식생의 면적이 자료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지구적 관점에서 모든 분포지역을 드론이나 항공기로 촬영하여 분석하는 것이 불가능 하기에 해상도가 떨어지는 위성자료를 함께 사용하여 그 면적을 추정하게 되는데 모든 위성 Data가 분포면적 판독에 최적기에 -간조시 맑은날- 촬영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육상에서 측정할 수 있는 염생식물도 이러한 실정인데 잘피는 어떠랴. 여기서 잘피 분포 면적을 조사하는 방법을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다. 과거 잘피조사는 GPS 와 잠수가 필수 였다. 우리연안은 거머리말이 80% 이상을 차지하는 우점종이고 거머리말 속 잘피는 보통 환경이 비슷한 해역에 띠(B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