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025의 게시물 표시

잘피 분포 조사

우리나라의 잘피 분포면적은 45km2 - 60km2로 추산되고 있다. 면적을 추산한 시기가 오래된 자료가 60km2 이고 최근 보고 자료가 45km2 이니 그 사이 잘피의 분포 면적이 줄었고 이는 기후변화의 탓이라 말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보다 선행하는 잘피장 면적 산출의 난이도를 고려해 보아야 한다. 잘피는 최근 주목하고 있는 Blue Carbon, 그 중 IPCC가 인증하는 유일한 침수식물이다. 그러다 보니 IPCC보고서에 전세계 연안의 잘피장 면적을 추산하는 참고 문헌이 소개되어 있고 신뢰할 만한 Review도 제법 있는 편이다. 그럼에도 전세계 잘피 분포면적의 추정치는 연구에 따라 세 배정도 차이가 난다. 다른 Blue Carbon source 인 맹그루브, 염생식물과 비교해 보아도 그 차이가 큰 편이다. 그럼에도 신뢰할만한 보고에서 그 차이를 교정하지 않고 그대로 게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답부터 하자면 해저에 분포하는 잘피장의 면적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이다.  맹그루브 숲은 육상의 식생을 확인하는 것과 유사한 방법을 쓴다. 항공 촬영과 일부 망원 촬영, 숲을 종단하며 분류한 식생의 변화 등을 확인하면 비교적 정확한 면적의 계산이 가능하다. 염생식물 또 한 간조 시 항공 촬영을 기본으로 면적 계산이 가능하다. 그럼에도 이 두 식생의 면적이 자료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지구적 관점에서 모든 분포지역을 드론이나 항공기로 촬영하여 분석하는 것이 불가능 하기에 해상도가 떨어지는 위성자료를 함께 사용하여 그 면적을 추정하게 되는데 모든 위성 Data가 분포면적 판독에 최적기에 -간조시 맑은날- 촬영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육상에서 측정할 수 있는 염생식물도 이러한 실정인데 잘피는 어떠랴. 여기서 잘피 분포 면적을 조사하는 방법을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다. 과거 잘피조사는 GPS 와 잠수가 필수 였다. 우리연안은 거머리말이 80% 이상을 차지하는 우점종이고 거머리말 속 잘피는 보통 환경이 비슷한 해역에 띠(Ban...

기후변화? 온실효과?

  연식이 조금만 있어도-아마도 30대 중반까지?-환경과 관련하여 온실효과라는 말을 먼저 들어보았을 것이다. 온실가스가 지구복사열을 차단하여 지구가 뜨거워 진다. 그러나 언젠가부터 온실가스라는 용어는 유지 되면서도 온실효과의 자리엔 기후변화라는 용어가 자리 잡았다. 요즈음은 기후변화가 통상적으로 쓰이고 있고. 온실효과? Greenhouse Effect. 온실은 겨울에도 신선한 야채를 길러 먹고 기후에 관계없이 열대의 다양한 식물을 유지할 목적으로 투명한 벽으로 외기를 차단하고 빛은 투과하여 광합성이 가능한 형태로 지은 구조물. 대기 중에는 다른 분자보다 열에너지를 잘 갈무리 하는 분자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이슈가 되는 이산화탄소- 온실가스라고 부르는 이 분자들의 대기 중 농도가 높아지면 가두어지는 열은 증가할테고 마치 온실의 투명한 외벽과 같이 우주로 방출되는 열을 잡아 지구에 갖힌 열에너지를 증가 시킨다는 이론. 흑체 복사 우주의 평균 온도는 3°K, 우리가 쓰는 섭씨로는 영하 270°C. 태양계 부근은 우리의 항성 태양으로 부터 오는 빛과 복사에너지로 평균보다는 따뜻하겠지만 여전히 차갑게 식어있는 공간. 지구는 자체 발열량이 태양으로부터 오는 energy에 비해 미미한 수준. 지구의 온도가 유지되는 것은 외부로부터 받은 에너지 중 열에너지 또는 열에너지로 변한 모든 Energy를 우주로 방출했기에 가능하다. 그 균형이 신비로운가?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모든 물체는 결국 열적 평형에 도달한다. 대장간의 이글이글 타오르던 쇠붙이도 가만두면 상온까지 식어지고 얼음을 가만두면 녹는점 보다 높은 상온에서 물이 되어 버린다. 외부 환경이 냉동실이라면 모든 물체는 그 온도에서 평형을 찾으면서 얼어붙을테지. 차가운 우주. 태양으로부터 오는 빛과 열을 지구 표면과 대기에서 일정 정도 간직해 주지 않으면 지구는 우주의 온도까지 식어갈 뿐. 대기라는 온실의 벽이 열의 손실을 차단해주니 지표면에 붙어있는 우리는 급격한 온도 변화를 모르고 사는 ...